[작가 소개]

이광수(李光洙, 1892-1950) : 한국의 시인, 소설가, 문학평론가, 사상가.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로 계몽주의, 민족주의 문학가 및 사상가로 한국 근대 정신사의 전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본관은 전주. 아명은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 등. 어렸을 때 부모를 여의고 유랑 생활을 하기도 했으며, 소년 시절에는 동학 활동을 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진다. 초기에 강한 민족주의적 성향을 띠었으나 일제 말엽에는 친일 행각으로 논란을 빚었으며 이 때문에 해방 이후 반민특위 활동에 따른 은둔 생활을 해야 했다. 한국전쟁이 벌어지고 서울에서 인민군에 납치돼 그 해 북한에서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 <사랑> <흙> 등 장편소설이 많으며 작품에는 초기에는 계몽주의적 성향이 강했으나 차츰 불교와 톨스토이의 사상적 영향을 받은 작품이 주류를 이루었다.

 

[작품 소개]

육장기(鬻庄記)란 '집을 파는 기록'이란 뜻이다. 사랑하는 어린 아들을 잃고 세상을 떠나려 했던 작가가 겨우 마음을 붙잡고 정성껏 서울 세검정 근처에 지었던 집을 빚 때문에 처분하면서 느끼는 소회를 정리했다. 작품 전반에 걸쳐 불교 사상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 섭리에 대한 간절한 희구가 느껴진다. 불교적 초탈과 극복을 추구하는 그 심리에서 집을 팔아야 하는 안타까운 심정이 느껴지는 것도 사실이다. 당시의 전쟁 분위기를 감안하더라도 이 작가의 친일 논란을 다시 일깨우는 내용이 포함된 것은 아쉬운 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