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비는 김조순(金祖淳)의 따님이었다. 김좌근(金左根)은 김조순의 아들이요 김 대비의 오라비였다. 김 무슨 근(根) 무슨 근 하는 '根'자 항렬이며, 김 병(炳) 무엇 병 무엇 하는 '炳'자 항렬이 정부의 귀한 자리를 모두 차지하고, 김문의 세력은 벌써 하늘을 찌를 듯하게 뇐 때였다. 그런데 여기 만약 인손이가 헌종의 뒤를 이어서 장래의 임금이 된다 하면, 그 김씨의 세력은 한풀 꺾이고, 인손이를 배경으로 조 대비의 일가 조씨의 세력이 일어설 것이다.

 

이 기미를 본 김문에서는 헌종의 중환을 앞에 하고 책동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더구나 당시에 있어서는 한 가지의 세력이 꺾이고 새로운 세력이 설 때에는, 낡은 세력이던 김씨 일문은 세력만 꺾일 뿐 아니라 생명까지 위협을 받을 것이었다. 그러매 그들의 책동은 맹렬하였다.

 

지금 이 종실의 승계자를 지정하여 새 승계자를 종료에 봉고할 권한이 있는 사람은 종실의 어른인 김 대비 한 사람뿐이다. 누구를 후사고 정하든 간에, 그 후사를 종묘에 봉고하여 정식으로 후사로 만들 사람은 김 대비 한 사람밖에 없다. 이런지라 아무리 인손이가 승계자로 내정이 되었다 할지라도, 김 대비가 이를 종묘에 봉고하기 전에는 정식으로 왕통을 이을 수가 없다. 그 김 대비의 권한을 김문에서는 이용하고자 하였다.

 

많고 많은 낙척 종친 중에서 한 무명하고 그다지 슬기롭지 못한 사람을 선택하여, 이 사람으로 하여금 헌종의 대를 잇게 하도록 만들려고 물색한 결과, 그들이 발견한 것은 강화도에 내려가서 농사를 지어 겨우 연명을 하는 통칭 '강화 도령'이라는 전계군의 둘째아들 원범이었다.

 

하옥 김좌근은 자기의 누님 김 대비를 궁중에 찾았다. 그리고 장시간 밀의한 바가 있었다. 인손이를 폐하고 전계군의 아들 원범을 세우기에는 좋은 핑계가 있었다. 즉 원범이는 영종의 고손이요, 사도세자의 종손이며, 순조왕비 김씨에게는 오촌 시조카로서 영종의 직계 혈통이되, 인손이는 종친은 종친이라 하나 덕흥 대원군의 후손으로서 영종의 혈통과 좀 멀었다. 종친 가운데 가까운 직계 혈통이 있음에 불구하고, 다른 갈래에서 승통자를 맞아 옴은 이치에 어그러진 일이다.

 

이러한 이유로서 김 대비께 여쭈어 김좌근과 김 대비 남매의 사이에는 장차 헌종 승하하는 날에는 '강화 도령'을 모셔다가 계통을 잇게 하자는 굳은 밀약이 성립되었다.

 

그 밀약의 덧붙이로서 '강화 도령'을 영립한 뒤에, 자기네 일족 김문근(金汶根)의 딸로써 신왕의 비를 삼게 하자는 계획까지 성립이 되었다. 이리하여 순조에서 신왕까지 삼 대째 김문의 딸로써 내리의 어머니를 만들고, 밖으로는 그 외척되는 김 무슨 근이며, 김 병 무엇에서 영세하도록 영화를 누리고 권세를 누리자는 계획과 약속이 든든히 성립이 되었다.

 

김 대비의 며느리 조 대비(헌종의 어머님)는 이런 일이 진행되는 줄은 전연 모르고 있었다.

 

유월 초엿샛날이었다.

 

중하던 헌종은 그 날 여러 번 정신을 잃었다. 그 곁에서 조 대비는 아드님의 중환을 간호하고 있었다. 상감은 어머님의 무릎을 베개삼아 고요히 누워 있었다. 그 아드님을 굽어 보며 조 대비는 눈을 깜박일 줄도 잊은 듯이 앉아 있었다.

 

“어머님!”

 

상감의 말이었다. 이 분의 입에서 어머님이란 말을 들은지도 벌써 십 오 년이다. 어머님은 아드님을 전하라 부르고, 아드님은 어머님을 대비전마마라 부르는 십 오 년 간, 비록 모자지간의 정애는 죽일 수 없다 하지만, 표면 얼마나 쓸쓸한 생활이었던가? 아드님에게 향하여 신분이 서로 갈리기 때문에, 나의 사랑하는 아들아 하고 한 번 불러 보지도 못하고 외로운 공규를 지켜 온 조 대비에게는, 헌종의 이상 말이 가슴에 콱 질리었다. 상감은 고요히 눈을 떴다. 눈물어린 눈이었다.

 

“어머님?”

 

“오냐, 좀 어떠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