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실이의 고향은 평양이었다.

연실이의 아버지는 옛날 감영(監營)의 이속(吏屬)이었다. 양반 없는 평양서는 영리(營吏)들이 가장 행세하였다. 연실이의 집안도 평양서는 한때 자기로라고 뽐내던 집안이었다.

연실이는 부계(父系)로 보아서 이 집의 맏딸이었으나, 그보다도 석 달 뒤에 난 그의 오라비동생이 그 집안의 맏상제였다. 이만한 설명이면 벌써 짐작할 수 있을 것이지만, 연실이는 김 영찰의 소실 - 퇴기(退妓) - 의 소생이었다.

김 영찰의 딸이 웬셈인지 최 이방을 닮았다는 말썽도 어려서는 적지 않게 들었지만, 연실이의 생모와 김 영찰의 사이의 정이 유난히 두터웠던 까닭인지, 소문은 소문대로 제쳐놓고 연실이는 김 영찰의 딸로 김 영찰에게는 인정이 되었다.

조선에도 민적법(民籍法)이 시행될 때는, 그때 생모를 여읜 연실이는, 김 영찰의 정실의 맏딸로 민적에 오르고, 연실이보다 석 달 뒤에 난 맏아들은 민적상 연실이보다 일년 뒤에 난 한 부모의 자식으로 오르게 되었다.

조선의 개명(開明)은 예수교라는 물결을 타고 서북(西北)으로 먼저 들어왔다. 이 다분의 혁명적 사상과 평민 사상을 띤 종교는, 양반의 생산지인 중부 조선이며 남조선에서 잘 받지 않는 동안, 홍경래(洪景來)를 산출한 서북에 먼저 들어왔다. 들어오면서는 놀라운 세력으로 퍼지기 시작하였다.

때 바야흐로 한토(漢土)에서는 애신각라(愛新覺羅) 씨의 이룩한 청나라의 삼백 년 기업도 흔들림을 보고, 원세개라 여원홍이라 손일선이라 하는 이름들이 조선사람의 입으로도 수군거리우는 시절에,

예수교라는 새로운 도덕학과 그 예수교에 뒤따라 조선에 들어온 '개명 사상'이 조선에서 제일 먼저 부인한 것은, 양반 상놈의 계급, 적서(嫡庶)의 구별, 도덕만을 숭상하는 구학문 등이었다. 이런 사상의 당연한 결과로서, 조선 온갖 곳에 신학문의 사립학교가 설립되었다.

평양에도 청산학교(靑山學校)라는 소학교가 설립되었다.


학도야 학도야 백만 학도야

저기 청산 바라보게

고목은 썩어지고

영목은 소생하네.


이 학교의 교가 삼아 지은 이 창가는, 삽시간에 권학가(勸學歌)로 온 조선에 퍼졌다.

청산학교 창립의 뒤를 이어, 벌써 평양에 몇 군데 예배당의 부속 소학교가 설립되었다.

곧 그 뒤를 이어서 진명여학교(進明女學校)라 하는 여자 교육의 소학교까지 설립이 되었다.

진명학교는 설립되면서 어느덧 평양 시민에게 '기생학교'라는 부름을 들었다. 장래의 기생을 만들어낸다는 뜻이 아니었다. 현재 재학생 중에 기생이 많다는 뜻도 아니었다. 아직도 옛 사상에서 벗어나지 못한 평양 시민들은, 자기네의 딸을 학교에 보내기를 꺼린 것이었다.

더우기 그때의 학령(學齡)이라는 것은 열 살 이상 열 다섯 내지 열 여덟이었으매, 그런 과년한 딸을 백주에 길에 내놓으며, 더우기 새파란 남자 선생한테 글을 배운다든가 하는 일은, 가문을 더럽히는 일이며, 잘못하다가는 딸에게 학문을 가르치려다가 다른 일을 가르치게 될 것을 염려하여, 진명여학교의 설립을 무시하여버렸다.

그 대신 '내외'를 그다지 엄히 지킬 필요를 느끼지 않는 기생의 딸 혹은 소실의 딸들이 이 학교에 모여들었다. 이렇게 되기 때문에 더우기 여염집의 딸들은 이 학교를 천시하고, 드디어 그 칭호까지도 진명학교라 부르지 않고 기생학교라 부르게까지 된 것이다.

연실이는 진명학교가 창립된 지 석 달 만에 이 학교에 입학하였다.

연실이가 이 학교에 입학한 것은 단지 소실의 딸이라는 자유로운 신분만이 아니었다.

첫째로는 신학문의 취미를 보았기 때문이었다. 무론 기역 니은은 언제 배웠는지 모르는 틈에 배웠지만, 그밖에 무엇보다도 연실이에게 호기심을 일으키게 한 것은 산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