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얘 금분아.”



“네애.”

“넌 저 달이 뭐만큼 커 뵈니?”

“…양푼만 해요.”

“넌, 창례는?”

“…맷방석만 한데요!”

“어유! 가지뿌렁하지 말아 얘. 어쩌면 저 달이 맷방석만하다니?”

“젠 누구더러 가지뿌렁이래. 아, 그래 저 달이 양푼만 하면 고속에서 옥토끼가 어떻게 방아를 찧는단 말이냐?”

“그럼 얘야, 맷방석 속에서는 어떻게 방아를 찧니?”

마루끝에 걸터 앉아서 송편을 빚던 두 소녀는 팔월 열 나흗날 밤 구름 한 점 없는 중천에 둥두렷이 떠오른 달을 눈 하나를 찡긋하고 손가락으로 재보다가 서로 호호거리며 웃는다.

“그렇죠, 네? 선생님. 그런데 참 정말 저 달 속에서 옥토끼가 방아를 찧는대유?”

영신은 바늘을 잡았던 손을 쉬며 달을 유심히 쳐다보다가,

“그건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얘기란다. 그런건 없어두, 커다란 망원경이란 걸 대고 보며는 사람이나 짐승같은 건 없지만, 달속에도 산이 있고 시내 같은 게 있단다.”

“그럼 그 물이 어디루 쏟아진대유?”

“아이구 그럼 어쩌나. 우리 머리 위로 막 쏟아지면…”

“아냐, 달 속의 냇물은 바짝 말라 붙었단다.”

“날이 가물어서요?”

“그럼 달 속엔 줄창 숭년만 들겠네.”

“참 햇님은 신랑이고, 저 달님은 새색지라죠? 그게 정말이야유?”

계집애들이 줄달아 묻는 말에 영신은,

“글쎄…그런 건 다 지어낸 말이니깐…”

하고 웃으며 우물쭈물하는 수밖에 없었다.

우주의 신비에 눈을 뜨기 시작한, 천진덩이인 아이들의 질문에 영신은 똑바른 대답을 해 줄 만한 천문학의 지식도 없지만 설명을 해 준대도 계집애들이 알아들을 리가 없었다.

그 동안 한곡리에서는 농우회관을 낙성하였다는 소식을 들은 영신은 슬그머니 성벽이 나서, '청석골은 그보다 곱절이나 큰 학원 집을 짓고야 말겠다'는 야심이 불 일 듯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기부금도 걷지 못하게 되어서, 백방으로 생각하다가 추석날을 이용해서 이 시골구석에서는 처음인 학예회 같은 것을 추석놀이 겸 열고, 다소간이라도 집을 지을 밑천을 얻으려고 두 달째나 그 준비에 골몰해 왔었다.

오늘 저녁은 학예회에 출장할 아이들을 마지막으로 연습을 시켜서 돌려보내고, 유희하는 데 나오는 여왕에게 씌워 줄 종이 면류관을 마분지로 오리고 금지로 배접을 해서는 그것을 꿰매고 있는 것이다. 그날 입힐 복색까지도 영신이와 원재 어머니가 며칠씩 밤을 새우며 꿰매 놓았다.

한편으로는 부인 친목계의 회원들이, 조석으로 한 숟가락씩 모은 쌀을 빻아 폿밤과 호박고지를 넣고 시루떡을 찌고, 그들이 손수 심고 거두어들인 햇팥과 콩으로 속을 넣어 송편을 빚는데, 금분이랑 창례랑 집 가까운 아이들이 모여와서 한 몫을 본다.


이 떡은 내일 추석놀이가 끝이 나면 아이들에게 상금처럼 나누어주려는 것이다.

영신은 달빛에 번쩍번쩍하는 가위를 놀리다가 몇번이나 그 손을 쉬고 머리를 떨어뜨렸다. 금분이나 창례만 할 때에, 그때도 추석 전날 오늘처럼 달이 초롱같이 밝은데 낮에 동산에서 주워다 둔 밤과 폿대추를 가지고, 마루에서 사촌동생과 공기를 놀던 생각이 났다. 그것을 죽은 오라비에게 송두리째 빼앗기고 몸부림을 치며 울다가 어머니한테 꾸지람을 듣던 생각이 났다. 울다울다 지쳐서 잠이 들었다가 아침에 일어나 보니, 밤과 대추가 대소쿠리에 소복히 담겨서 머리맡에 놓여 있지 않았던가.

그 신기하던 생각이 바로 어제런 듯 눈에 선하다.

“얘들아, 창가나 하나 하렴.”

향수에 잠긴 영신은 면류관을 집어던지고, 방으로 들어가 손풍금을 들고 나왔다. 그것을 본 계집애들은 미리 신이 나서,

“선생님 뭘 허까유? '이태백이 놀던 달아'를 허까유?”

하면서 손뼉을 쳐서 떡가루를 털며, 영신의 앞으로 옹기종기 모여 앉는다.

“왜 요전번에 가르쳐 준 거 있지? 내일 저녁에 너희 반에서 할거 말야. 그 창가를 날 따라서 불러봐.”

“옳지, 난 알어. 그 창가 난 알어.”

맨 꼬랑지에 앉았던 복순이가 내닫는다.

손풍금은 처음에는 '조선의 꽃'을 타다가, 어느덧 '갈매기의 노래'로 멜로디가 옮겼다.

제 손으로 고요히 반주를 해가며 그 처량한 노래를 나직히 부르는 영신의 눈에는 고향의 산천과 한곡리 바닷가의 달밤이 번 차례로 지나간다. 안개 속과 같이 아련히 - 꿈속처럼 어렴폿이 -

그러다가 영신은 노래를 그치고, 손풍금을 힘없이 무릎 위에 떨어뜨리며 기다란 한숨과 함께 눈을 내리감았다. 계집애들은 멋도 모르고,

“아이 재밌다! 재밌다!”

하고 손뼉을 치는데, 평생을 외롭게 사는 원재 어머니도 처량한 생각이 들어서 행주치마 끈으로 눈두덩을 누르며 돌아앉았다.

그 날 밤 영신은 어머니를 꿈속에 만나서 마주 붙들고 느껴느껴 울었다. 그러다가 새벽녘에는 동혁이와 첫날밤을 치르는 꿈을 꾸었다. 엄마가 그리워 헤매어 다니던 어린 물새처럼 지쳐 늘어진 날개를 그의 따뜻한 품속에 조심스러이 깃들인 꿈을…

추석날은 장거리에서 물 위와 물 아래 동리를 편을 갈라서 줄을 다린다고 떠들어댔다.

그러나 그리로는 장정들만 한 십여 명쯤 갔을까, 그밖에는 청석골의 남녀 노소가 모두 예배당으로 모여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