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관청에... 아니, 어느 관청인지는 밝히지 않는 편이 나을 것 같다. 어느 부처, 어느 연대, 어느 지청을 막론하고 한 마디로 깨놓고 말해서 관리란 족속들처럼 화를 잘 내는 친구들도 없으니까 말이다. 요즘 세상에선 누구나 자기 한 개인이 느끼는 모욕을 마치 사회 전체 구성원에 대한 모욕으로 오해하는 경향이 있다.
바로 얼마 전에도, 무슨 도시인지 이름은 잊었지만, 하여튼 어느 도시의 경찰서장이 상부에 진정서를 제출한 적이 있었다. 그는 그 진정서에서, 작금에 국가의 법률 질서가 땅에 떨어지고 있으며 자기의 신성한 직함마저도 번번히 모욕을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쾌하게 기록했다고 한다.
그는 자기의 주장이 사실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방대한 분량의 장편소설 하나를 참조 문서라는 이름으로 그 진정서에 첨부해 함께 제출했다. 그리고 그 장편소설에는 거의 10페이지마다 경찰서장이라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그 인물을 곤드레만드레 술에 만취한 모습으로 묘사하는 대목도 몇 군데나 있다는 주장이었다.
그래서, 되도록 이런 불쾌한 일이 생기는 것을 피하려면 여기서 화제에 오른 관청도 그 이름을 특정하지 않고 그저 아무개 관청이라는 식으로 애매하게 부르는 게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아무개 관청에 아무개 관리 한 사람이 근무하고 있었다. 이 관리는 남보다 뛰어난 점이라곤 눈을 씻고 찾아봐도 찾을 수 없는 그런 사내였다.
작달만한 키에 약간 얽은 얼굴, 머리털은 붉은 빛이 감돌고 눈은 근시처럼 생겼다. 이마는 약간 벗어졌고, 두 볼은 주름 투성이다. 안색은 마치 치질 환자를 연상시킨다... 하지만 어쩔 수 없는 일 아닌가. 그저 뻬쩨르부르그의 고르지 못한 날씨를 탓할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그의 직급으로 말하면(뭐니뭐니해도 러시아에서는 사람의 직급부터 밝혀둘 필요가 있다) 이른바 만년 구등관(九等官)이었다. 뭐라고 반격을 할만한 능력도 없는 사람들을 사정없이 짓밟기를 좋아하는 기특한 습성을 가진 글쟁이들이 특히 좋아하는 게 바로 이들 구등관들이다. 이 글쟁이들은 이들 구등관들을 마음껏 조소하고 풍자하기를 좋아한다는 건 이미 널려 알려진 사실인 것이다.
이 구등관의 성은 바쉬마치낀이었다. 원래 이 성이 바쉬마끄(구두, 단화)에서 나왔을 것이라는 건 누가 봐도 분명하지만, 언제 어느 시대에, 무슨 이유로 하필이면 바쉬마끄란 단어에서 사람의 성을 만들어냈을까 하는 그 연유는 누구도 알 길이 없다. 아버지나 할아버지, 심지어 처남까지도 바쉬마치낀 네 집안 사람들은 모두 장화를 신고 다녔다. 신창을 갈아치운다고 해야 기껏 1년에 두세 번 정도였다.
그의 이름은 아까끼 아까끼에비치였다. 독자들에게는 이 이름이 무척 기묘하게 들릴지도 모른다. 마치 뭔가 다른 의도가 있어서 일부러 지은 이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이름은 결코 일부러 의도를 갖고 지은 이름은 아니었다. 다만 이 이름 외에 다른 이름을 붙여줄 수가 없는 자연스럽고도 특별한 사정이 있었을 뿐인 것이다. 그 사정이란 다음과 같다.
기억이 틀리지 않다면, 아까끼 아까끼에비치는 3월 23일 밤에 태어났다. 이미 고인이 된 그의 어머니는 더할 나위 없이 마음씨가 고운 여인으로, 관리의 아내였다. 그 여인은 정해진 절차에 따라 갓난아기에게 세례식을 베풀어주기로 했다. 산모는 아직 방문 맞은편 침대에 누워 있었다.
산모의 오른쪽에는 아이의 대부(代父)가 될 이반 이바노비치 에로쉬낀이라는 훌륭한 어른이 서 있었다. 전에 원로원에서 과장으로 일한 적도 있는 분이었다. 왼쪽에는 대모(代母)가 될 아리나 쎄묘노브나 벨로브류쉬꼬바라는 천하에 보기 드문 정숙한 부인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 여성은 지구 경찰서장의 부인이었다.
이들은 산모에게 갓난아기의 이름으로 '목끼'나 '소씨' 아니면 순교자 '호즈다자뜨' 이렇게 세 가지 가운데 아무거나 마음에 드는 걸 고르라고 말했다.
'틀렸어!' 아이의 어머니는 생각했다. '무슨 이름이 모두 그따위람!'
그래서 그녀를 만족시켜주기 위해 달력의 다른 곳을 들춰보았다. 그래서 이번에도 이름 세 개를 골라냈다. '뜨리필리' '두르다' 그리고 '바라하씨'가 그것이었다.
"하나님 맙소사!" 이미 중년 고개를 넘긴 아이 어머니는 자기도 모르게 이런 말을 입밖에 내뱉어버렸다. "어쩌면 그렇게 괴상한 이름만 튀어나올까요? 생전 단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는 이름들 뿐이군요. '바르다뜨'나 '바루흐'라면 몰라도 '뜨리필리'니 '바라하씨'니 하는 이름을 도대체 어떻게..."
그래서 달력을 또 한 장 넘겼더니 이번에는 '빱시까히'와 '바흐찌시'가 나타났다.
"알겠어요..." 아이 어머니는 말했다. "이것도 아마 이 애의 팔자인 모양이군요. 그따위 이름을 붙이느니 차라리 이 애 아버지 이름을 그대로 따서 붙여주는 것이 차라리 낫겠어요. 아버지 이름이 아까끼니까 이 애도 아까끼라고 부르도록 하죠..."
아까끼 아까끼에비치라는 이름은 바로 이렇게 해서 생겨난 것이다. 갓난 아기는 세례를 받을 때 얼굴을 잔뜩 찌푸리면서 울어댔다. 아마 나중에 기껏 구등관이나 되리라는 걸 그때부터 예감했는지도 모른다. 이 관리 이름의 유래는 바로 이상과 같다. 내가 왜 이런 얘기를 하느냐 하면, 앞에서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은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 이 사나이에게 다른 이름을 붙인다는 게 애초부터 전혀 불가능했다는 것을 독자들이 잘 납득해 줬으면 하는 바람에서인 것이다.
그가 그 아무개 관청에 언제 어느 때 들어가게 됐는지, 누가 그를 그 자리에 임명했는지를 기억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동안 국장이나 과장들은 수없이 많이 갈렸지만, 그는 언제나 같은 자리, 같은 등급인 서기라는 직책을 여전히 맡고 있었다. 그래서 나중에는 다들 그가 마치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머리가 벗겨지고 관리 제복을 입은 채 태어나기라도 한 것처럼 느끼게 되었다.
그가 일하는 관청에서는 어느 누구도 그를 존중하지 않았다. 수위들조차도 그가 앞을 지나가도 자리에서 일어나려 하지 않았다. 마치 파리 새끼가 한 마리 날아가는 것을 보는 듯한 태도로 그를 거들떠보지도 않는 것이다. 더구나 상관들은 말할 필요도 없이 그에게 위압적이고 전제적인 태도를 보였다.
부과장이라는 직책을 가진 자는 아예 예의상 하는 최소한의 말 한 마디도 없이 그의 코 앞에 다짜고짜 서류를 불쑥 들이밀곤 했다. "이거 정서 좀 해줄래요?"랄지, "이거 꽤 재미있는 일감인 것 같은데..."랄지 하는 그런 의례적인 표현조차 아까끼 아까끼에비치에게는 생략하는 것이다.
아까끼 아까끼에비치는 또 그대로, 일을 맡기는 사람이 누구인지, 그 사람에게 그런 일을 시킬 권리가 있는지 하는 따위에는 아예 관심도 기울이지 않고 자기 코 앞에 내민 서류를 힐끔 보고는 그냥 받아서 즉석에서 그것을 정서하기 시작하곤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