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여섯 살 때에 <체험담>이라는 제목의, 원시림에 관한 책에서 멋있는 그림을 보았다. 보아 뱀이 맹수를 삼키는 그림이었다. 그걸 옮겨 놓은 그림이 위에 있다.

그 책에는 이런 설명이 있었다. '보아 뱀은 먹이를 씹지 않고 통째로 삼킨다. 그러고 나면 몸을 움직일 수 없어 소화가 다 될 때까지 여섯 달 동안 잠을 잔다.'

나는 그 그림을 보고 나서 밀림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모험들을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드디어 나도 색연필을 들고 나의 첫 그림을 그려냈다. 나의 작품 1 호, 그건 다음과 같았다.

 

나는 내 걸작을 어른들에게 보여주며 내 그림이 무섭지 않으냐고 물어 보았다.

어른들은 대답했다. "아니, 모자가 왜 무섭지?"

내 그림은 모자가 아닌, 코끼리를 소화시키고 있는 보아 뱀을 그린 것이었다. 그래서 나는 어른들이 알아볼 수 있도록 보아 뱀의 속까지 그렸다. 어른들에겐 항상 설명을 해 주어야 한다. 내 그림 제 2 호는 아래와 같았다.

 

어른들은 나에게 속이 잘 보이지도 않는 보아 뱀 그림 따위는 집어치우고, 지리나 역사, 산수, 문법 등에 재미를 붙여 보라고 충고했다. 이렇게 해서 나는 여섯 살에 화가라는 멋있는 직업을 포기했다. 나는 그림 1 호와 2 호의 실패로 그만 실망하고 말았던 것이다. 어른들 혼자서는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고, 그렇다고 일일이 설명을 해 준다는 것은 어린 나에겐 너무 힘든 일이었다.

나는 다른 직업을 골라야 했고, 비행기 조종을 배웠다. 나는 세계의 여기저기를 제법 많이 날아다녔다. 확실한 것은, 지리 공부가 내게 많은 도움을 주었다는 점이다. 나는 한번 쓱 살펴 보아도 중국과 아리조나를 구별할 수 있었다. 캄캄한 밤에 길을 잃었을 때 지리는 매우 편리하다.

나는 이렇게 살아오면서 수많은 진지한 사람들을 만나봤다. 나는 오랫동안 어른들과 함께 살며 그들을 아주 가까이서 지켜 보아왔다. 그러나 그들에 대한 내 의견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나는 똑똑해 보이는 사람을 만날 때마다, 항상 품고 다니던 내 그림 제 1 호를 꺼내 그를 시험해 보곤 했다. 그가 정말 이해력이 있는지 알고 싶었던 것이다. 그러나 늘 '모자군요'하는 대답을 들었을 뿐이다. 그러면 나는 보아 뱀 이야기도, 원시림 이야기도, 그리고 다른 별다른 이야기도 꺼내지 않았다. 나는 그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트럼프 이야기, 골프 이야기, 정치 이야기, 넥타이 이야기를 했다. 그러면 그 어른은 자기 만큼이나 분별 있는 사람을 알게 되었다고 아주 흐뭇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