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 / 전체 3
지금 강남에서 이구년을 만나다니
기왕 댁에서 우리 늘 보지 않았소?
최구의 집에서는 또 몇 번이나 그대 노래 들었던가
지금 정말 강남의 풍경이 기가 막힌데
하필 꽃 지는 시절에 또 그대를 만났구려
江 南 逢 李 龜 年
岐 王 宅 履 尋 常 見
崔 九 堂 前 幾 度 聞
正 是 江 南 好 風 景
落 花 時 節 又 逢 君
[해설]
이구년(李龜年)은 당시 당나라의 유명한 가객이었다. 기왕(岐王)은 당시의 고관이며, 최구(崔九)는 유명한 가객이다. 이 시는 두보와 이구년이 비교적 잘나가던 시절 만났다가 헤어지고, 만년에 서로 초라해진 모습으로 재회한 감회를 노래하고 있다. 자연은 눈부시게 꽃이 피어나는데, 그 가운데서 인생사의 '꽃이 지는 시절'을 노래하는 시인의 감성이 빛을 발한다. 마지막 절의 '또 우(又)' 자를 일컬어 '귀신도 울고갈 표현'이라고 감탄한 평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