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일제하 식민지에서 조선의 쁘띠 인텔리겐차가 겪어야 하는 고민과 방황을 묘사한 작품이다. 탈출구 없는 일상에서 스스로를 '레디메이드 인생'이라고 자조하는 주인공은 결국 아들을 '나 같이 어설픈 지식인은 만들지 않겠다'며 인쇄소 견습공으로 밀어 넣는다. 식민지 지식인의 자학이 어떤 지점을 헤매었는지를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작가 소개]

채만식(蔡萬植, 1902-1950) : 호는 백릉白陵). 전북 옥구(沃溝) 출생, 와세다대학 영문과를 중퇴했으며 조선일보, 동아일보, 개벽 등의 기자로 일했다. 1924년 <새 길로>를 작품을 <조선문단>에 발표해 등단했으며 동반자 작가(유진오, 이효석 등)로 불려기도 했다. 장편 <탁류>(1937), <태평천하>, <치숙(痴叔)>, <쑥국새> 등이 유명하다. 아이러니 기법을 통한 풍자소설를 주로 썼으며 1950년 폐결핵으로 사망했다. 일제의 수탈상으로 인해 빚어지는 조선 민중의 쓰라린 삶을 잘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