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소개]
염상섭(廉想涉 1897 ~1963) : 호 횡보(橫步). 서울 출생. 보성학교에 재학 중 도일하여 교토부립중학(京都府立中學)을 졸업, 게이오대학 사학과에 입학했으나 3 ·1운동에 가담한 혐의로 투옥되었다가 귀국, 동아일보 기자가 되었다. 1920년 <폐허(廢墟)>지 동인에 가담했고 1921년 <개벽(開闢)>지에 단편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발표했다. 1946년 경향신문 창간과 동시에 편집국장, 6 ·25전쟁 때는 해군 정훈국에 근무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만세전(萬歲前)> <잊을 수 없는 사람들> <금반지> <고독>과 장편 <삼대(三代)> 등이 있고, 광복 후에도 <두 파산(破産)> <일대의 유업(遺業)> <짖지 않는 개> 등의 단편과 장편 <취우(驟雨)> 등이 있다. 자연주의 및 사실주의 문학을 이 땅에 건설한 최초의 작가로서 김동인·현진건과 함께 뚜렷한 공적을 남겼다.
[작품 소개]
우리나라에 자연주의 사조를 소개했다는 점에서 기념비적인 작품이지만 작품 자체가 갖는 매력도 매우 탁월하다. 무기력하게 해부당하며 몸부림치는 청개구리의 이미지가 김창억에 투영되며, 다시 김창억의 삶의 역정과 비극적인 귀결은 주인공 자신의 이미지와 중첩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 모든 이미지는 자신을 둘러싼 환경 전체와 식민지 시대 조선과 거기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 자체이다. 이런 뛰어난 문제의식과 내러티브가 갖는 매력 앞에서 청개구리가 냉혈동물이라 김이 모락모락 날 수 없다느니, 액자소설로서 구성이 혼란스럽다느니 하는 논란은 그저 사소한 시비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