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1 / 전체 7
[작가 소개]
김유정(金裕貞, 1908-1937) : 강원도 춘성군에서 지주의 아들로 출생. 휘문고보를 거쳐 연희전문 문과를 중퇴했다. 고향에서 야학을 벌이고 농우회를 조직하는 등 농촌 계몽 운동에 힘쓰기도 했으며, 193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소낙비>가 당선되면서 본격 문학 활동에 들어갔다. 약 3년에 불과한 문단 활동을 통해 30여 편의 단편들을 발표했다. 주로 농촌에서 취재한 그의 문학 세계는 토착적 유머와 함께 농민의 생활 감정과 습속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표면상 나타나는 유머러스한 내용 뒤에 식민지 시대 조선 농민들의 깊은 애수가 담겨 있다. 1937년 폐결핵으로 요절했다. <동백꽃> <봄봄> <산골> 같은 작품에서는 경쾌한 해학성이, <소낙비> <만무방> <총각과 맹꽁이> 등은 농촌 생활을 소재로 사회적 모순을 그려냈다.
[작품 소개]
식민지 시대 조선의 하층 민중들에게 금광은 지겨운 가난과 악착스러운 운명을 벗어날 수 있는 몇 안 되는 탈출구의 하나였다. 하지만 그 로또를 통해 행운을 검어쥘 수 있었던 인물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그리고 대부분은 이 작품의 등장인물들처럼 서로 배반하고 배반당하는 처절한 아귀다툼 속에서 스러져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