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농촌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가난한 농민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작품이다. 노름을 해서 서울로 갈 요량으로 아내를 매음(賣淫) 길로 내보내는 춘호, 남편에게 매만 맞지 않으면 어떤 일도 마다하지 않는 아내.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된, 이 작가의 처녀작이다. 2-3년에 불과한 작품 활동을 통해 한국 문학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이 작가의 작품 세계를 뚜렷하게 예고해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 소개]
김유정(金裕貞, 1908-1937) : 강원도 춘성군에서 지주의 아들로 출생. 휘문고보를 거쳐 연희전문 문과를 중퇴했다. 고향에서 야학을 벌이고 농우회를 조직하는 등 농촌 계몽 운동에 힘쓰기도 했으며, 193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소낙비>가 당선되면서 본격 문학 활동에 들어갔다. 약 3년에 불과한 문단 활동을 통해 30여 편의 단편들을 발표했다. 주로 농촌에서 취재한 그의 문학 세계는 토착적 유머와 함께 농민의 생활 감정과 습속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표면상 나타나는 유머러스한 내용 뒤에 식민지 시대 조선 농민들의 깊은 애수가 담겨 있다. 1937년 폐결핵으로 요절했다. <동백꽃> <봄봄> <산골> 같은 작품에서는 경쾌한 해학성이, <소낙비> <만무방> <총각과 맹꽁이> 등은 농촌 생활을 소재로 사회적 모순을 그려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