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음악, 나의 동경 나의 위안] 브람스의 ‘러시아 추억’

 

슈만과 클라라 부부. 슈만의 제자 브람스는 클라라를 연모했으나
스승의 사후에도 연인으로 발전하지는 않았다.

 

불어의 souvenir(추억)라는 말은 시에도, 음악에도 자주 등장하는 말이다. souvenir를 제명으로 내세운 곡이 제법 많고 그 곡들 모두가 일정한 매력과 특징을 갖고 있기도 하다. 추억이 사람의 생각과 감각에 그만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파가니니의 ‘베니스 카니발’을 피아노곡으로 편곡한 쇼팽의 ‘파가니니의 추억’은 얼마나 상큼한 보라색 물빛으로 번쩍이는가. 차이콥스키의 현악6중주곡 ‘플로렌스의 추억’, 비에냡스키의 ‘모스크바의 추억’도 독특한 이국풍의 색채를 뽐내는 매력적인 곡들이다. 나도 이 souvenir라는 단어를 무척 좋아하는 편이다.

브람스의 네손을 위한 피아노 연탄곡 ‘러시아 추억(Souvenir de la Roussie)’은 LP 바람이 불기 시작한 몇해 전 우연히 음반을 얻었는데 잘 알려진 러시아의 듀오 로제스트벤스키와 포스트니코바 부부의 연주(작은 사진)였다. 러시아엔 이 곡 연주를 즐기는 또 한쌍, 타티아나와 레오니드가 있다. 역시 부부가 손을 맞춰야 이 연탄곡은 완벽 하머니가 이뤄지는 모양이다. 네 손을 위한 피아노 연탄곡은 흘러간 시대의 유물같은 느낌이 들고 현대에 자주 무대에 등장하지도 않는다. 모차르트 곡이라 해도 이 형식은 왠지 싱겁고 연주자의 개성이나 특징이 드러나지 않아 크게 흥미를 끌지 못한다.

브람스의 출세작 ‘헝가리 무곡’도 초기에는 연탄곡으로 출발했다. 그가 클라라 슈만과 1868~1880년 사이에 공식무대에서 피아노 앞에 나란히 앉아 이 곡을 연주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 모습을 상상하면 브람스가 왜 연탄곡에 유독 열중했는지 알 것 같기도 하다. 브람스는 헝가리를 여행하고 ‘헝가리 무곡’을 썼지만 러시아엔 가지 않았다. 사실은 ‘러시아 추억’이란 제명도 후대 연주가들이 편의상 붙였을 가능성이 많다. 이 곡은 러시아 민요 외에 보헤미아 민요에서도 악상을 빌려오고 있기 때문에 제명 자체에 약간의 문제가 있다는 말이다.

곡에 붙여진 소제목들이 재미있다. 5번-커다란 마을이 길게 누워있다. 4번-나이팅게일. 3번-그대 아직 깨어나지 않은 어스름 새벽에. 2번-지류, 혹은 갈래길 등인데 자연풍경과 그곳에서 피어나는 로맨틱한 심상을 그렸다는 것을 읽을 수 있다. 음악 자체도 ‘헝가리 무곡’이 그렇듯 빠른 리듬, 표정의 잦은 변화, 특유의 활기와 우수가 각 곡마다 색채를 바꿔가며 잘 녹아들어 있다.
그리고 내가 듣기에는 러시아의 지방 풍광을 어느 곡 보다 더 생생하게 묘사해내고 있는 것이다.

2005년, 기후가 가장 좋다는 7월에서 9월 사이 나는 모스크바 동남부 라잔 지방을 잠시 여행할 기회가 있었다. 아까강이 그곳에 있고 솔제니친의 중편소설 『마뜨료나네 집』의 무대도 그 지역이다. 고려인 작가 A의 멋진 다차도 그 지역 가브리노란 마을에 있는데 그 다차에서 일주일가량 머물면서 그와 함께 숲으로 가서 흰 버섯을 따기도 했다. 다차 앞에 있는 큰 호수 건너 마을에는 A의 친구이자, 전형적 러시아 농부(農婦)인 니나네 집이 있는데 거기서 맛있는 삶은 계란을 실컷 대접받은 기억도 있다. 전상자(戰傷者)인 남편을 일찍 보내고 홀로 땅을 일구며 살아온 니나는 여러 가지로 솔제니친의 마뜨료나와 닮았었다.

러시아 숲은 끝이 없다(요즘은 벌목으로 많이 훼손되고 있다고 한다). 하늘도 끝이 없다. 솥뚜껑처럼 하늘이 넓었다. 앞을 가로막은 산이 없는 것이다. ‘하늘은 정말 넓어요’라는 노래를 A가 흥얼거려 들려주었다. 나는 그곳에서 친구 하나를 사귀었다. 다차 뒤뜰에 있는 한 그루 뿐인 러시아 민들레였다. 키가 허리에 닿을만큼 큰 파클론 아드반치쿠의 모습이 특이해서 눈길을 끌었다. 그 옆에 앉아 친구와 이런저런 대화를 나누곤 했다. 그리고 재작년, 7년만에 니나의 무덤을 찾아간 성묘 길에 다차에 다시 들렀는데 제일 먼저 뒤뜰의 친구에게 달려갔다. 그가 무사한지 궁금했던 것이다. 민들레는 그사이 군락을 이룰만큼 크게 번성한 모습이었다. 그 모습을 소형 카메라에 여러 장 담아왔다.

포스트니코바와 로제스트벤스키의 ‘러시아 추억’ 연주는 과연 부부 연주답게 한치 빈틈 없는 완벽 호흡을 뽐낸다. 짙은 우수와 활력이 교차하는 곡의 진전에 따라 내 시야에도 오래 전 라잔에서 보았던 끝없는 숲과 하늘, 평원 사이에 난 여러 갈래 길이 펼쳐지고 그곳에서 만났던 여러 인물들의 갖가지 표정과 목소리가 생생하게 되살아난다. 추상의 판타지인 브람스의 ‘러시아 추억’은 우랄합창단이 부르는 러시아 민속곡인 ‘레비니슈까’나 ‘카투사’같은 실체가 있는 노래 보다 도리어 더 사실적이며 포괄적으로 러시아 풍경과 정취를 생생하게 환기시켜 준다. 브람스는 러시아에 여행한 적도 없는데 말이다. 이것이 뛰어난 예술작품, 기악곡의 매력이고 미덕일 것이다.

‘레비니슈카’는 레비냐란 나무와 참나무가 강을 사이에 두고 서로 그리워한다는 러시아 민담을 소재 삼은 노래이다. 레비냐 나무에는 빨간색 열매가 주렁주렁 열려 밤에 불빛이 비치면 루비처럼 아름답게 보인다.

 

J.Brahms "Souvenir de la Russie" Piano Duo Tatjana & Leonid Schick

https://www.youtube.com/watch?v=ymCGktIlZxE

 

업데이트 - 이정숙